잡담/기타

페이스북 앱 검수 후기

테서르 2021. 12. 22. 01:19
반응형

웹 서비스를 개발하다 페이스북 API를 사용하게 되었고 원하는 기능을 제대로 사용하려면 검수를 받아야 했다. 혹시나 해서 검수 후기를 찾아 보았는데 대부분이 검수 통과가 오래 걸린다거나 힘들다는 내용이었다.

그래서 내용이 부실한 공식 문서와 외국 블로그를 찾아가며 몇 번의 시도끝에 검수를 통과하였다.

혹시나 나중에 다시 검수를 받을 상황이 올 수도 있을 것이고 나와 비슷한 상황의 사람이 있을 것 같아서 후기를 남겨둔다.

 

앱 생성과 설정, 그리고 검수 신청서 작성방법 순으로 작성하였다.

 

 

1. 앱 타겟과 유형

검수 통과와 추후 사용을 위해 중요한 것이 앱 타겟과 유형이다. 이 설정을 잘못하면 앱 검수만 여러번 받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번에 검수하면서 필자가 경험했기에 매우 중요한 설정이라 생각한다.

 

만약 비즈니스 인증을 마쳤거나 할 예정이라면 앱 타겟은 '고객 또는 클라이언트를 대신해 통합 관리', 유형은 '없음'으로 하는 게 편할 거라 생각이 된다. 필자도 이와 같은 설정으로 진행을 하였다.

 

이 설정으로 하면 모드도 생기고 권한도 요청할 수 있어서 여러모로 편리하다. 혹시 이미 생성을 했고 원하는 데이터가 제대로 출력되지 않으면 위 설정으로 새로 해 보는 걸 추천한다.

 

2. 앱 설정

기본설정의 앱 아이콘, 앱 도메인, 개인정보처리방침 URL, 카테고리는 적당히 설정하고 고급 설정을 잘 확인해야 한다.

 

만약 'Facebook 로그인 버튼이 현재 앱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라는 피드백을 받았다면 고급 설정에 '앱 제한 사항'이라는 항목을 보면 '국가 제한'이라는 설정을 확인해 보자.

페이스북 앱 검수를 한국이 아닌 해외에서 하기 때문에 이 설정이 켜져있다면 검수자는 해당 패이스북 앱에 로그인을 할 수가 없다. 그러니 바로 승인 거부가 되고 위와 같은 피드백을 주는 것이다.

 

3. 테스트앱 생성

앱 만들기로 생성한 앱은 아무런 권한이 없어서 테스트 앱을 생성해야 한다. 테스트 앱 생성 방법은 '내 앱' 페이지에서 '관리자 앱' 탭에서 원하는 앱의 메뉴에 '테스트 앱 만들기'항목을 누르면 된다.

테스트 앱 만들기 메뉴 위치

 

4. 테스트 사용자 생성 및 권한부여

테스트 앱을 생성했다면 이제 테스트 사용자를 만들어야 한다. 테스트 사용자는 앱 검수 없이 모든 권한을 사용할 수 있는 계정이다. 말 그대로 테스트 계정이라서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테스트 계정의 프로필이나 게시글에 접근은 불가능하다.

 

개발을 하고 나중에 동작 화면을 녹화할 때만 사용된다. 검수할 때는 검수자가 알아서 테스트 계정을 만들어 검수를 한다.

권한을 부여할 때 막 넣지 말고 하나씩 넣는 것을 추천한다. 그래야 권한이 언제 사용되는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다음 단계인 스크린 레코딩을 할 때 중요하다.

 

생성 방법은 공식 문서에 자세하게 나와있다.

링크: https://developers.facebook.com/docs/development/build-and-test/test-users

 

테스트 사용자 - 앱 개발 - 문서 - Facebook for Developers

테스트 사용자 앱에 테스터 역할을 부여받은 실제 사람인 테스터와 달리, 테스터 사용자는 가상의 Facebook 사용자 계정입니다. 테스터 사용자를 통해 앱에 구현된 Facebook 로그인과 앱에서 사용하

developers.facebook.com

 

 

5. 스크린 레코딩

앱 검수 단계에서 조금 애먹는 단계라고 생각된다. 그만큼 더 중요한 단계이기도 하다.

 

웹사이트인 경우에는 웹사이트 로그인부터 페이스북 로그인, 그리고 기능을 사용하는 장면까지 모두 담겨야 한다.

즉, 웹사이트 메인->웹사이트 로그인->페이스북 로그인 버튼 확인->페이스북 로그인->요청 권한 확인->페이스북 로그인 완료->API 사용 순으로 진행이 되어야 한다.

 

상황을 설명하는 자막을 반드시 추가해야 하는데 영어로 하는 것이 좋다. 앱 검수 요청을 하고 웹서버 로그를 확인해보니 미국과 아일랜드, 싱가포르에서 검수가 진행이 되었다. 그러니 영어로 자막을 추가하면 검수가 좀 더 수월하게 된다.

 

권한을 사용하는 상황에서는 해당 권한이 어떤 데이터에 접근을 하는지 적어두는 것이 좋다. 가령, 'user_profile' 권한을 사용한다면 [Get user profile use 'user_profile' permission] 과 같은 느낌이다.

 

그리고 개발자 도구를 열어서 네트워크 항목을 보여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어떤 기준으로 검수를 진행하는지는 모르겠지만 계속 권한 승인이 거절되었다가 네트워크 항목을 보여주고 설명을 하니 승인이 되었다. 아마 검수자가 자체적으로 테스트 계정을 만들어서 검수를 하다보니 의도와는 다르게 작동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

 

만약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 페이지에 관련된 API를 사용한다면 해당 페이지를 보여주어서 어떤 데이터에 접근을 하였는지 보여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공식 문서에서 참조 영상과 안내가 되어 있으니 확인을 해 보는 것이 좋다.

링크: https://developers.facebook.com/docs/app-review/submission-guide/screen-recordings

 

스크린 레코딩 - 앱 검수 - 문서 - Facebook for Developers

권한 부여 표시 각 레코딩은 앱 사용자가 Facebook 로그인 버튼(Facebook 로그인을 구현한 경우)을 찾고, 해당 권한을 앱에 부여하는 모습이 나와야 합니다. 그런 다음, 앱 사용자가 그 권한이 필요한

developers.facebook.com

 

 

6. 제출 상세 정보 작성

이 단계에서는 작성할 것이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다. 페이스북 로그인까지 가는 단계(앱 인증 상세정보)와 권한을 사용하능 이유다.

 

앱 인증 상세정보는 사실 별 거 없다.

1.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웹사이트 로그인 버튼 클릭합니다.
3 웹사이트 테스트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이런 느낌으로 페이스북 로그인까지 가는 단계를 작성해 주면 된다.

만약 서비스 계정을 로그인하고 페이스북 계정을 연동하는 방식이라면 아래에 서비스 로그인을 위한 테스트 계정을 추가해야 한다.

 

기능을 요청하는 이유도 처음엔 막막했는데 외국 블로그를 찾아보니 생각보다 간단했다.

이 권한을 사용하여 어떤 데이터에 접근을 하는지, 어떤 엔드포인트를 사용하고 어떤 데이터를 얻게 되는지에 대해 작성을 하면 된다.

 

그리고 작동 영상까지 올려주면 검수 요청이 가능하다.

 

제출 전에 웹사이트에 연동된 페이스북 앱이 테스트 앱인지 확인을 해야 한다. 실제 적용할 앱은 검수 전이라서 권한이 없어서 개발자를 제외하고는 앱을 사용할 수 없다. 이는 검수자 또한 마찬가지다.

제출은 검수받을 앱에서 하고, 웹사이트에는 테스트 앱을 적용시켜야 검수자가 테스트 사용자를 만들어 검수가 가능해진다.

 

만약 웹사이트에 검수 통과 전의 일반 앱을 연동시켜두었다면 로그인이 올바르게 되지 않는다면서 검수가 거절이 되므로 반드시 테스트 앱을 연동 시키고 제출을 해야 한다.

 


 

다른 후기를 보면 앱 검수 요청하고 며칠 후에 결과가 나온다고 했는데 필자는 신청 후 대략 6시간마다 검수 결과를 받았다. 재택근무 때문인건지 검수자를 늘린건지는 모르겠지만 검수를 2주가 지나기 전에 완료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다시는 검수를 할 상황이 없었으면 좋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