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에서는 사용자들이 쉽게 자신이 올린 글이나 댓글, 또는 관리하고 있는 페이지와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그래프 API를 제공하고 있다.
그래프 API를 브라우저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그래프 API 탐색기다. 직접 코드를 짜는 것보다 편리하며 결과물이 마음이 든다면 해당 코드를 받을 수도 있다. 서비스에 적용하기 전에 원하는 정보가 나오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그래프API 탐색기를 사용하는 것이 편하다.
그래프 API 탐색기를 사용하려면 페이스북 개발자 계정과 페이스북 앱이 필요하다. 개발자 계정은 https://developers.facebook.com에서 로그인을 하여 등록을 할 수 있다.
페이스북 앱을 만드는 방법은 https://teserre.tistory.com/2에서 1번 항목을 참조하면 된다.
이 글에서는 '연결된 계정 구축' 유형으로 만든 앱을 사용하여 페이스북 계정의 게시글과 댓글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그렇기에 페이지에 관한 정보는 다루지 않는다.

https://developers.facebook.com/apps/에 접속을 하면 오른쪽 상단에 도구->그래프 API 탐색기를 선택한다.

그래프 API 탐색기의 메인 화면이다. 자신의 계정이 아직 페이스북 앱에 연결되지 않았다면 오른쪽의 '액세스 토큰'은 빈칸으로 보인다. 'Generate Access Token' 버튼을 눌러 페이스북 앱과 연결하여 토큰을 발급받는다.

토큰을 발급받으면 '사용자 또는 페이지' 항목 아래에 '권한' 항목이 생긴다. 최초로 토큰을 발급 받으면 계정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만 얻게 된다.
확인을 위해 기본 프로필 정보를 요구해 본다.

위쪽의 me?fields=id,name 가 입력되어 있는 칸을 클릭한 후 엔터를 입력해도 되고, 오른쪽의 '제출'버튼을 눌러 명령어를 전송해도 된다. 문제가 없다면 현재 계정의 이름과 페이스북의 숫자 id가 출력된다.
확인이 되었다면 그래프 API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게시글 정보를 얻어 본다.

오른쪽의 '권한' 항목에서 권한 추가 -> User Data Permissions -> user_posts를 선택한다. 그리고 위쪽의 'Generate Access Token'을 눌러 권한이 포함된 토큰을 새로 발급받는다.
이렇게 추가된 권한은 페이스북에 앱을 검수 받은 후에 사용할 수 있지만 테스트를 위해 자신의 정보만은 접근이 가능하다.

쿼리 입력창에 me/posts 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자신이 작성한 게시글이 출력된다.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명시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게시글의 생성시간, 텍스트, 해당 게시글의 아이디를 출력한다.
만약 게시글에 달린 댓글이나 사진 정보등 다른 데이터를 얻고 싶다면 전송할 쿼리에 필드를 추가해 주면 된다.
현재 쿼리는 'me/posts'로 되어 있다. 여기에 댓글 정보를 얻고 싶다면 '?fields=comments'를 추가하면 된다. 즉, 'me/posts?fields=comments'로 작성하면 된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댓글 정보만 불러온다. 게시글의 내용이나 이미지는 볼 수 없다는 것이다. 필드는 설정한 필드의 데이터만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생성일자와 내용을 포함하고 싶다면 그에 해당하는 필드를 추가해야한다.

게시글의 생성 시간과 메시지, 댓글 정보를 요구하는 쿼리를 작성한 결과다. 이런 식으로 원하는 값이 있다면 해당하는 필드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쿼리를 작성하면 된다.
이 쿼리를 자신의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고 싶으면 결과창 아래쪽에 '코드받기'버튼을 누르면 된다.
※참고사항
1. 페이스북 앱을 만든 직후에는 테스트를 위해 권한을 얻을 수는 있지만 자신의 계정과 관련된 데이터만 얻을 수 있다. 즉, 다른 사람이 단 댓글 정보는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이전에 API를 통한 해킹 사건이 있었어서 보안을 위해 변경이 되었다고 한다. 제대로 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페이스북에 '앱 검수'를 신청하여 안전하다고 판단이 되어야 한다.
2. '앱 검수'는 현재 개인이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코로나로 인해 페이스북이 개인 인증을 막았기 때문이다. 사업자 등록을 한 기업만이 검수를 신청할 수 있다.
3. 페이스북 앱은 시간당 API 사용량을 제한하고 있다. API 호출이 잦으면 사용이 제한된다는 것이다. 공식 문서에 따르면 앱 사용자 1인당 200회라고 한다. 즉, 앱에 연결된 계정이 많을수록 사용량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테스트 한다고 이것저것 쿼리를 제출하다보면 사용량이 증가하므로 사용량을 자주 확인하는 편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