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Freenom 이라는 무료 도메인 등록 사이트에 관한 글을 작성했었다. 해외 사이트라 속도가 느리긴 했지만 테스트용으로는 큰 문제가 없어서 사용했었다.
무료 도메인 등록하기(Freenom)
개인 서버를 운영하다보면 도메인의 필요성이 느껴진다. 개인 프로젝트를 할 때도 마찬가지다. 페이스북이나 카카오 같은 소셜 서비스의 로그인 AP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https를 적용해
teserre.tistory.com
그러다 약간의 트래픽이 발생할 정도의 프로젝트가 있었는데 Freenom은 트래픽이 오르면 유료로 전환된다고 하여 다른 서비스를 찾던 중 국내에서 운영중인 내도메인.한국 서비스를 찾았다.
내도메인.한국 - 한글 무료 도메인 등록센터
한글 무료 도메인 내도메인.한국, 웹포워딩, DNS 등 무료 도메인 기능 제공
xn--220b31d95hq8o.xn--3e0b707e
아는 사람은 아는 사이트로 3차 도메인을 등록하여 사용 할 수 있게 해주는 사이트다.
마지막 주소는 '.kr' 또는 '.한국' 으로 정해져 있고 중간 주소도 일부만 사용 가능하다. 마음대로 할 수는 없지만 회원 가입만 하면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고 게시판 내용을 보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트래픽도 큰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된다. 개인 블로그나 개발용으로 쓰기에는 충분하다.
등록을 위해 화면 우측 상단에 있는 '회원가입' 버튼을 누른다. 가입시 입력하는 정보는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이메일 등으로 간단한 정보만 입력하면 된다.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진행하면 메인화면으로 돌아온다. 메인화면에서 원하는 도메인을 검색한다.
검색하여 도메인의 상태에 따라 '등록불가' 나 '등록하기'가 표시된다. '등록하기'로 표시된 도메인만 등록이 가능하다. 만약 원하는 도메인이 사용할 수 없다면 조건에 맞춰서 다시 검색을 한다.
원하는 도메인이 등록가능 하다면 등록하기를 진행한다. 도메인 등록 자체도 매우 간단하게 보안코드만 따라 입력하면 등록이 완료된다.
그 후에는 다른 도메인 등록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연결하고자 하는 서버의 아이피를 입력하거나 리다이렉트, 또는 직접적으로 html 파일을 적용할 수 있다.
필요한 기능의 체크박스를 활성화 하고 IP 주소 등을 입력한 후 수정하기를 누르면 바로 적용이 된다.
이렇게 등록한 도메인은 처음엔 3개월간 사용이 가능하며, 만료일 30일 전부터 갱신이 가능하다. 갱신 이후에는 1년동안 사용이 가능하다.
SSL 인증서도 등록이 가능하며 인증서 등록을 해주는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Let's Encrypt 같은 무료 SSL 인증을 사용하여 등록을 해도 된다.
[Ubuntu]Let's Encrypt 무료 SSL 인증서로 HTTPS 적용하기( + Apache)
페이스북, 카카오 같이 소셜 서비스를 운영하는 업체들은 API를 제공하고 있다. 이 API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이트가 HTTPS가 적용이 되어 있어야 기능을 제공한다. Let's Encrypt는 무료로 SSL 인증서를
teserre.tistory.com
'웹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도메인 등록하기(Freenom) (0) | 2021.01.29 |
---|